해커톤
-
[Day101, 102] 최종 발표AIFFEL Life 2020. 12. 27. 13:58
102번째 되는 날이 최종발표날이었습니다. 전날에는 당연히 발표 준비에 여념이 없었죠. MLOps를 담당하시는 분은 github에 모델 파일을 올리고 Ainize에 서비스 등록하는 것까지 도전하고 계셨고, 나머지 분들은 공유할 파일들 정리와 각자 맡은 발표자료 작성으로 바쁜 하루를 보냈습니다. 드디어 발표날, 딥섬 팀은 첫발표라 빨리 끝내고 다른 분들의 발표를 편한 마음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해커톤을 진행하면서 여러가지 아쉬움이 남았지만, 드디어 장장 5개월의 기간동안 지나온 아이펠의 모든 과정을 마치는 순간이 왔네요. 오늘 발표에는 애자일소다에서도 참관해 주시고 좋은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마지막까지 코로나로 구글 밋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표를 진행했네요. 딥섬팀의 최종발표자료는 깃헙에 공유하였습..
-
[Day96~100] 해커톤 마지막 주AIFFEL Life 2020. 12. 27. 13:51
아이펠 강남 1회의 총 수업일 수는 103일입니다. 해커톤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딥섬 팀은 지난주에 발견한 KoBART에 Dacon에서 발견한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시키는 것으로 방향을 정했습니다. 최초에 계획했던 것과는 많이 방향이 바뀌었습니다만, 우리가 가진 자원과 시간으로 프로젝트를 마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결론으로 그렇게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차원으로는 아키텍처 디자인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4가지 뷰에 따라서 1) Usecase View, 2) Static View, 3) Dynamic View, 4) Physical View로 디자인하였습니다. 딥섬 팀은 이제 어떤 결과물이 나오게 될 지, 큰 틀에서는 모두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고 할 수..
-
[Day88~90] 해커톤 (혼돈과 UI Prototype)AIFFEL Life 2020. 12. 27. 12:53
이번주에는 해커톤으로 할당된 시간이 2일반이네요. 본격적으로 해커톤에 집중해야 할 시간이 되었습니다. 딥섬팀은 최초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모델을 완성한 이후 혼돈의 시기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한글에 최적화된 버트를 사용해 보려고 ETRI의 KoBERT 사용신청서도 제출해서 사용권한도 받았는데,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왜냐면 BERT를 이용한 방법이 잘 되지 않는데다가, BERT를 학습시켜서 새로운 모델을 만든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컴퓨팅 파워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만한 투자를 할 수 있는 시간과 예산이 없어서 여러 고민을 하기도 했습니다. 한편으로 프로젝트 관리측면으로는 우리가 만들기로 약속한 웹 어플리케이션의 UI Prototype을 만들어서 공유하는 시..
-
[Day85] 해커톤 중간발표카테고리 없음 2020. 12. 27. 12:12
오늘은 그동안 진행했던 해커톤 중간발표가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진행해온 해커톤 과정을 모든 아이펠 참여자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듣는 시간이었습니다. 다른 팀들은 어떻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지 알 수 없었는데, 이렇게 들을 수 있으니 다양한 시도와 아이펠의 열정을 확인할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딥섬팀은 1) 프로젝트 배경, 2)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역할, 3) 프로젝트 수행 절차 및 방법, 4) 프로젝트 수행 결과, 5) Lessons Learned 순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발표는 코로나 확산에 따라 구글 밋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발표자료 공유합니다~ github.com/DeepSum/Deepsummarize/blob/main/Presentation/%E1%84%83%E1..
-
[Day84] 해커톤 일곱번째AIFFEL Life 2020. 12. 26. 21:54
오늘은 해커톤 일곱번째 날이었습니다. 이번주부터 실습 과정이 모두 끝나면서, 해커톤에 배정된 시간이 더 늘어났습니다. 이번주 딥섬 팀은 기본적인 Transformer로 기사 본문을 입력하면 제목을 출력하는 모델을 완성했습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도 작성했습니다. 소프트웨어는 크게 4가지의 architectural drivers에 의해 프로젝트가 진행됩니다. 1) 기능적 요구사항, 2) Quality Attributes (비기능적 요구사항이라고도 합니다), 3) 기술적 제약사항, 4) 비즈니스 제약사항이 그것인데요. 이것들을 정리하고 팀원 모두가 그리고 프로젝트에 관련된 사람들이 읽어보면 모두가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겠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도록 정리해서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
[Day75] 해커톤 5번째AIFFEL Life 2020. 12. 26. 15:33
이번주 딥섬 해커톤은 뉴스 기사 데이터 수집을 거의 완료하고 전처리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처리는 로컬에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하는 것이라서 속도상의 문제는 없었습니다. 전처리는 필터링할 사항들을 걸러내는 작업을 하는 것이고, 이후 토크나이징을 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vision 문서를 작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큰 그림을 같이 생각해 보고 이 프로젝트의 목표를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하게 됩니다. 완성된 문서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hub.com/DeepSum/Deepsummarize/blob/main/Documents/Vision_DeepSum.pdf DeepSum/Deepsummarize Contribute to DeepSum/Deepsummarize develop..
-
[Day70] 해커톤 4번째AIFFEL Life 2020. 12. 25. 20:59
지난주부터는 매주 금요일은 7시간동안 해커톤 시간입니다. 그전엔 고작 3.5시간이었는데 말이죠. 이번주에는 지난주부터 세운 플랜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딥섬은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beautifulsoup으로 크롤러를 만들어 뉴스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가끔 timeout 등의 에러로 수집이 중간에 멈출때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잘 수집이 되었습니다. 시간이 좀 많이 걸려서 그렇지만요. 그리고 1주일 단위 스프린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음 플래닝 시트를 업데이트해가면서 진행했습니다. 1주일 단위로 해야 할 작업과 그에 따른 산출물을 확인하고 담당자를 지정하는 방식이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잘 동작한 것 같습니다. 물론 프로젝트 막판에는 좀 어그러..
-
[Day65] 해커톤 planning 시작AIFFEL Life 2020. 12. 25. 19:58
이번주부터 온라인 교육이 코로나 환자 숫자 감소 (아직도 100명대)에 따라 오프라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그럼에도 결석을 감수하고 집에서 온라인으로 공부하고 있었는데, 해커톤은 그룹 활동이다 보니 이 시간에 혼자 집에 있는 것은 다른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인 것 같아, 정말 오랜만에 아이펠 강남 캠퍼스로 출근?하여 공부했습니다. 지난주까지는 우리 이제 뭐할까?를 고민했다면 이번주부터는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며 언제까지 무슨 일을 해야 이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습니다. 다들 지난주에 대충 뭘 할지에 대해서는 생각을 했는데, 그게 어떻게 해서 이뤄지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본 시간이죠. 제가 알고 있는 milestone based planning에 따라 화이트보드에 주요한 마일스톤을 정하고 p..